역대하 36장 1절-27절은 유다 왕국의 비극적인 멸망을 그리지만, 동시에 모든 실패를 뛰어넘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회복의 약속을 선포하는 '소망의 서곡'과도 같습니다. 이 글은 역대하 36장 1절-27절의 핵심 메시지를 5가지로 나누어 깊이 있게 분석하였습니다. '역대하 36장 1절-27절'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절망의 끝에서 부르는 소망의 노래: 역대하 36장 핵심 연구 1. 네 왕의 실패와 한 왕의 선포 (4+1 구조) 역대하 36장은 유다의 마지막 네 왕(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시드기야)의 연이은 실패를 고발합니다. 이는 인간 왕정의 한계와 필연적 실패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본문은 이방 왕 고레스의 선포라는 다섯 번째 단락으로 급반전됩니다. 이 '4+1' 구조는 인간의 절망적인 실패와 하나님의 주권적인 구원의 개입을 극적으로 대비시키며, 오직 하나님께만 소망을 두라는 메시지를 강력하게 전달합니다. 2. "더 이상 치료할 약이 없을 때" (심판의 필연성) 유다의 멸망은 하나님의 갑작스러운 심판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그 백성과 거하시는 곳을 아끼사 부지런히 그의 사신들을 보내셨습니다". 이는 마지막 순간까지 회개를 촉구하시는 하나님의 간절한 긍휼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백성들은 이 경고를 조롱하고 멸시했습니다. 그 결과, 그들의 영적 상태는 더 이상 어떤 처방으로도 고칠 수 없는 '치료 불능'(לְאֵין מַרְפֵּא)의 상태에 이르렀고, 공의로운 심판은 피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3.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 역대하 36장은 세상 역사의 진정한 주관자가 오직 하나님 한 분이심을 선포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집트의 바로 느고와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을 공의로운 심판의 도구로 사용하십니다. 그리고 70년이 찬 후, 페르시아의 고레스를 구원과 회복의 도구로 사용하십니다. 하나님께서 "예레미야의 입으로 하신 말씀을 이루시려고" ...
새벽예배, 주일예배, 수요기도회 등의 설교를 준비하며 본문을 연구한 자료들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