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오늘의 큐티, 요한복음 3장 3절 '다시 태어남'(중생)에 대하여

 

말씀묵상,명상,오늘의기도,오늘의큐티,좋은글,현대인의성경,중생,거듭남,다시태어남


‘다시 태어남’(중생)에 대하여

 

1. 오늘의 큐티 본문

  그래서 예수님은 니고데모에게 `내가 분명히 너에게 말하지만 누구든지 다시 나지 않으면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 없다.' 하고 대답하셨다. (요한복음 3장 3절,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다시 태어남 즉 중생에 대한 본문의 말씀에 대해 지금껏 여러 잘못된 교리들과 가르침이 있어 왔었습니다. 특별히 예수 그리스도의 육신에 대한 여러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신약성경의 말씀들 중에 하나입니다. 하나님의 자녀가 되고 싶다면 다시 태어나야만 합니다. 이러한 다시 태어남은 예수님을 나의 주님이시자 구원자로 고백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예수님은 나의 구주이시다"라고 입으로 선언하고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를도부터 다시 살리셨다는 사실을 마음 속으로 확신하고 믿을 때 구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로마서 10장 9-10절, 만일 여러분이 입으로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고백하고 또 하나님께서 그분을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살리셨다는 것을 마음으로 믿으면 구원을 받을 것입니다.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하나님께 의롭다는 인정을 받고 입으로 고백하여 구원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현대인의 성경)

  우리의 첫 번째 출산은 어머니의 자궁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다시 태어난다는 것은 "성령님"을 통하여 새로워진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이자 구원자로 받아 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로마서 10장 9절-10절에 의하면, 예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고백하는 순간 하나님의 성령님께서 은혜로 우리를 하나님의 자녀가 되도록 인정해 주시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다시 태어난다면, 하나님은 여러분의 하늘 아버지가 되시며 여러분들은 그리스도의 몸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하늘나라 가족 공동체의 구성원이 됩니다. 당신의 형제 자매는 한 마음으로서 서로 사랑하는 성도들이 될 것입니다. 함께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성령 하나님께 의지하며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당신은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 있는 특권을 가진 하나님의 상속자가 될 것입니다. 

 

3. 오늘의 기도

   아버지 하나님! 다시 태어남의 은혜를 베풀어 주심에 감사 드립니다. 이제 내가 하나님의 가족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그리스도 예수를 닮아 가는 삶을 살아 가겠습니다. 나를 인도하여 주세요.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 드립니다. 아멘.

  

4. 더 통독하면 유익한 말씀

  우리는 유대인이든 이방인이든 종이든 자유인이든 모두 한 성령님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고 한 성령님을 모시고 있습니다. (고린도전서 12장 13절, 현대인의 성경)


   다시 태어나지 않으면, 즉 중생하지 않으면 하나님 나라를 볼 수 없다는 말씀이 뼈아프게도 다가옵니다. 세상을 보며 하나님 나라를 보지 못하는 일상의 삶은, 거듭난 삶이 되지 못한다는 뜻으로 깨달아 지기도 합니다. 오늘의 큐티를 통하여 내가 거듭난 성도로서의 삶을 살고 있는지 돌아봅니다. 막연히 교리적으로 거듭났다고 말할 뿐 아니라, 내 삶의 모습도 거듭난 모습이 되어야 함을 말씀묵상을 통해 깨닫고나 자신을 곰곰히 살펴 봅니다.
   오늘의 큐티로 나를 돌아보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댓글

Popular Posts

오늘의 큐티, 에베소서 4장 2절-3절 너그럽게 대하고 용납하고

  너그럽게 대하고 용납하고   1. 오늘의 큐티 본문 언제나 겸손하고 부드러우며 인내와 사랑으로 서로 너그럽게 대하고 성령으로 연합하여 사이좋게 지내도록 노력하십시오. (에베소서 4장 2절-3절,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만약에 당신이 에베소서 4장 2절-3절의 말씀을 인생의 지침으로 삼는다면, 당신의 결혼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당신은 평화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구절이 제시하는 한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그 조건은 다른 사람들과 평화롭게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 져야 할 책임이 성도인 우리의 어깨에 놓여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이 땅의 기준과는 전혀 다른 기준으로 살아야만 합니다. 우리는 우리만의 특별한 기준을 가지고 살아갈 때,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큰 영향을 미치며 살아가게 됩니다. 아울러, 우리 역시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큰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다른 이들을 이해하고 친절하게 대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겸손한 언행을 해야만 합니다.     화평을 유지하고 하나됨을 지키기 위해 때로는 토론을 무시하거나 문제를 무시하고 모른 척 해버릴 수도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요 이 땅에 주님의 형상과 영광을 비추는 거울이기에, 우리를 통해 하나님의 모습을 나타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세상 사람들도 우리를 보며 하나님의 성품에 대해 기대를 하곤 합니다.    이미 정복하고 소유한 것에 대해 인간은 소홀해지기 쉽지만, 우리는 더욱 겸손하고 친절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우리 주변의 사람들에게 대해야 그들과 화평을 지켜 나갈 수 있습니다. 우리가 여행했던 장소와 그곳까지 가느라 걸렸던 시간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는가를 기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수고하여 이룬 화평을 쉽게 깨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자세는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친...

예레미야애가 3장 40절-54절,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깊은 슬픔에 잠긴 예레미야는 본문의 말씀인 예레미야애가 3장 40절부터 54절까지의 말씀을 통하여, 이스라엘에게 자신들의 행동을 살펴보고 하나님께 돌아가라고 권합니다. 주님이 우리의 죄를 용서하지 않으시면 결국 패망하고 말 것입니다. 주께서 이스라엘의 기도를 듣지 않으심으로 인하여 대적이 입을 열고 파멸이 이스라엘에게 올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눈물이 시냇물과 같이 흘러내리며 하나님이 돌아보실 때까지 계속해서 눈물을 흐른다고 고백합니다. 예레미야애가 3장 40절-54절,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예레미야의 간곡한 권유 이스라엘의 행동을 반성하고 하나님으로 돌아가라는 예레미야의 간곡한 권유는 오늘 우리 스스로를 돌아보게 합니다. 우리가 범한 죄를 용서받기 위해서는 우리의 마음 중심의 깊은 회개와 함께 깨어있는 신앙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대적이 우리를 향해 그 입을 열고 파멸이 우리에게 밀려올 것입니다. 그리고 예레미야는 자신의 눈에서 흐르는 눈물이 시내가 흐르는 것처럼 흘러간다고 고백합니다. 그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바라보실 때까지 눈물로 땅을 적실 정도라고 말하며 이스라엘의 회개와 속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1. 파괴되고 쓰레기로 변한 이유 우리가 죄의 길에서 돌이켜 하나님께로 나아갈 때,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받습니다. 예레미야는 유다의 백성들에게 호소합니다. "자신의 행위를 돌아보고 주님께로 돌아가자"고 말씀하십니다 (절 40). 유다의 백성들에게 회개를 권면하면서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진노 아래에서 겪고 있는 상황에 대해 한탄합니다. 하나님은 유다의 백성들을 용서하지 않으셨고, 백성들의 기도를 들으실 의향이 없으셨기 때문에 대적이 입을 열고 파멸이 그들에게 임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2. 시냇물처럼 흐르는 눈물 예레미야는 예루살렘이 파괴되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시냇물처럼 눈물이 흘렀습니다. 그는 자신이 흘린 눈물이 하나님이 예루살렘을 용서하시고 보살피실 때까지 계속 흘러간다고 고백합니다. 특히 예루살렘이 함락...

오늘의 큐티, 고린도전서 13장 4절-7절 "사랑"이란

사랑이란 1. 오늘의 큐티 본문 사랑은 오래 참고 친절하며 질투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며 잘난 체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버릇없이 행동하지 않고 이기적이거나 성내지 않으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불의를 기뻐하지 않고 진리와 함께 기뻐합니다. 사랑은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고 모든 것을 견딥니다. (고린도전서 13:4-7,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성경에서 사랑에 대해 말할 때 항상 하나님을 언급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랑의 시작이자 근원이며 하나님이 곧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요한일서 4장 7절과 8절은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서로 사랑합시다. 사랑은 하나님에게서 왔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모두 하나님에게서 나서 하나님을 알지만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을 모릅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특별하신 성품, 즉 우리를 통해서 표현되어져야만 하는 하나님의 본성과 생명을 우리에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랑이 바로 우리가 예수를 믿고 새롭게 태어나게 될 때 받게 되는 “하나님의 본성” 입니다. 사랑은 하나님의 근본적인 성품이자 하나님께서 거듭난 우리에게 주시는 영적인 선물입니다. 사랑은 가장 위대한 영적 선물입니다.    그렇습니다. 바로 사랑입니다. 사랑은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서, 자기 중심적이고 자기 만족적인 단어가 아닙니다. 타인 중심적이며 타인의 관심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는 의미를 담은 아름다운 자기 희생의 단어입니다. 자녀를 향한 부모님의 사랑을 한 번 기억해 보십시오. 자녀가 어떻게 행동하든지 부모님의 사랑은 자녀의 모든 허물을 덮고 용납해 주지 않습니까?    만일 하나님과 영원한 삶을 살아가고자 계획하고 있다면, 내 안에 계신 하나님의 성품과 인격을 나를 통하여 드러냄으로써 이 땅에서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는 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