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역대상 8장 1절-9절, 주목 받지 못한 베냐민 지파의 족보 - 설교를 위한 연구 자료

역대기는 바빌론 유수 이후 에스라에 의해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며, 유다와 베냐민 지파의 계보와 역사를 중심으로 하나님의 약속의 연속성과 예루살렘 성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구약성경의 족보 기록은 단순한 이름 목록이 아니라 역사적 정확성을 확립하고, 하나님의 약속 성취를 보여주며,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하고, 이야기의 틀을 제공하는 다양한 목적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정 가계에 대한 초점은 역대기 저자가 상세한 부족 기록에 접근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 본 보고서는 이 구절들을 분석하여 핵심 줄거리, 신학적 의미, 설교 적용 가능성 및 구약성경 전체 맥락과의 관계를 밝힐 것이다.


역대상 8장 1절-9절, 주목 받지 못한 베냐민 지파의 족보 - 설교를 위한 연구 자료



역대상 8장 1절-9절, 주목 받지 못한 베냐민 지파의 족보



1. 본문 핵심 줄거리


역대상 8장 1-5절은 베냐민의 장자인 벨라를 통해 이어지는 후손들을 열거하는데, 앗달, 게라, 아비훗, 아비수아, 나아만, 아호아, 스푸판, 후람 등이 포함된다. 여러 세대에 걸쳐 '게라'라는 이름이 반복되는 것은 (3절, 5절, 7절) 이 부족 내에서 특정 가문의 이름이 중요했음을 보여준다.

6절은 에훗의 아들들을 언급하며, 그들은 게바 주민의 족장 가문의 조상이었고 마나핫으로 끌려갔는데, 그 이름은 나아만, 아히야, 게라이다 . 마나핫으로의 유배는 중요한 역사적 세부 사항이지만, 누가, 왜 유배되었는지 정확한 성격은 불확실하다.

7절은 6절에 언급된 게라가 포로로 끌고 간 자이며 웃사와 아히훗을 낳았다고 명확히 한다.

8-9절은 사하라임을 소개하는데, 그는 아내 후심과 바아라를 이혼시킨 후 모압에서 자녀를 낳았고, 이후 그의 아내 호데스를 통해 요밥, 시비아, 메사, 말감, 여우스, 사키아, 미르마를 낳았다. 사하라임의 모압 체류와 그 후의 결혼은 주변 국가들과의 잠재적인 상호 작용이나 갈등을 나타낸다. 이 구절들은 주로 다양한 베냐민 가문의 계보와 지리적 연관성을 확립한다.


인물 (Person)

주요 정보 (Key Information)

성경 구절 (Bible Verse)

벨라 (Bela)

베냐민의 장자 (Benjamin's firstborn)

역대상 8:1 (1 Chronicles 8:1)

앗달, 게라, 아비훗, 아비수아, 나아만, 아호아, 스푸판, 후람 (Addar, Gera, Abihud, Abishua, Naaman, Ahoah, Shephuphan, Huram)

벨라의 아들들 (Sons of Bela)

역대상 8:3-5 (1 Chronicles 8:3-5)

에훗 (Ehud)

게바 주민의 족장들의 조상, 마나핫으로 끌려감 (Ancestor of heads of fathers' houses in Geba, carried into exile to Manahath)

역대상 8:6 (1 Chronicles 8:6)

나아만, 아히야, 게라 (Naaman, Ahijah, Gera)

에훗의 아들들, 포로로 끌고 간 자 (Sons of Ehud, who carried them into exile)

역대상 8:7 (1 Chronicles 8:7)

웃사, 아히훗 (Uzza, Ahihud)

게라의 아들들 (Sons of Gera)

역대상 8:7 (1 Chronicles 8:7)

사하라임 (Shaharaim)

모압에서 자녀를 낳음, 후심과 바아라를 내보냄 (Fathered children in Moab, sent away Hushim and Baara)

역대상 8:8 (1 Chronicles 8:8)

호데스 (Hodesh)

사하라임의 아내 (Wife of Shaharaim)

역대상 8:9 (1 Chronicles 8:9)

요밥, 시비아, 메사, 말감, 여우스, 사키아, 미르마 (Jobab, Zibia, Mesha, Malcam, Jeuz, Sakia, Mirmah)

호데스의 아들들 (Sons of Hodesh)

역대상 8:9-10 (1 Chronicles 8:9-10)



2. 신학적 내용 분석


비록 상세한 내용이 부족해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족보를 꼼꼼하게 기록한 것은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며, 그분의 백성의 혈통을 의도적으로 보존하셨음을 보여준다. 모든 세부 사항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기록의 존재 자체가 가문과 세대를 통해 하나님의 계획이 펼쳐지는 데 적극적으로 관여하셨음을 시사한다.

고대 이스라엘에서 족보는 정체성, 상속, 사회적 지위, 그리고 특히 다윗 왕조와 메시아의 도래와 관련된 하나님의 약속 성취에 매우 중요했다. 이 구절이 직접적으로 다윗에게 이어지지는 않지만, 미래의 지도자들이 나올 더 넓은 부족적 배경을 확립한다. 원래 청중에게 족보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세부 사항이 기록된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하라임의 이혼과 모압에서의 체류와 같이 잠재적으로 복잡한 배경을 가진 개인들의 포함은 하나님의 계획이 결함 있는 인간을 통해 전개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는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불완전한 개인들을 사용하시는 더 넓은 성경적 이야기와 연결이 된다.

예수님의 족보에 의문스러운 과거를 가진 여성들이 포함된 것은 이러한 구약의 족보 내의 잠재적인 복잡성과 유사점을 제공한다. 게바, 마나핫, 오노, 롯과 같은 특정 장소의 언급은 베냐민 지파와 약속의 땅에서의 그들의 상속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구약성경의 핵심 주제이다. 이러한 지리적 언급은 유수에서 돌아온 공동체가 자신들의 공동체를 재건하려고 노력할 때 의미가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족보의 목적 중 하나는 돌아온 포로들을 그들의 조상의 땅으로 인도하는 것이었다.



3. 설교를 위한 핵심 내용 제시


핵심 내용 1: 우리 뿌리와 세대를 통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억함.

  • 설명: 이 구절은 단순한 이름 목록처럼 보이지만, 우리 유산의 중요성과 세대를 거쳐 나타나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상기시켜 줍니다. 이 이름들이 이스라엘 백성을 그들의 과거와 연결시켜 주듯이, 우리 역시 더 큰 믿음의 이야기의 일부입니다. 하나님은 역사 속에서 자신의 백성에게 신실하셨으며, 이것을 기억하는 것은 현재와 미래에 대한 소망과 격려를 제공합니다.
  • 핵심 구절: "내가 옛적 일을 기억하며 주의 모든 행하신 것을 묵상하며 주의 손으로 하신 일을 생각하고" (시편 77:11-12).


핵심 내용 2: 하나님은 평범한 사람들을 통해 비범한 계획을 이루십니다.

  • 설명: 이 족보에 나오는 대부분의 이름을 알지 못하지만, 각 개인은 하나님의 백성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데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겉으로 보기에 평범한 개인들을 통해서도 비범한 계획을 이루실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 줍니다. 우리가 보기에 아무리 보잘것없어 보이는 삶이라 할지라도, 하나님의 더 큰 목적의 일부입니다.
  • 핵심 구절: "그러나 하나님께서 세상의 미련한 것들을 택하사 지혜 있는 자들을 부끄럽게 하려 하시고 세상의 약한 것들을 택하사 강한 것들을 부끄럽게 하려 하시며 하나님께서 세상의 천한 것들과 멸시 받는 것들과 없는 것들을 택하사 있는 것들을 폐하려 하시나니" (고린도전서 1:27-28).


핵심 내용 3: 선택의 영향과 복잡한 가족사.

  • 설명: 사하라임의 이혼과 모압에서의 체류에 대한 간략한 언급은 가족사의 복잡성과 때로는 어려운 현실을 암시합니다. 우리의 선택은 좋든 나쁘든 세대를 거쳐 영향을 미칩니다. 이 구절은 우리 결정의 영향을 고려하고 가족과 관계의 복잡성을 헤쳐나가는 데 하나님의 인도를 구하도록 격려합니다.
  • 핵심 구절: "그런즉 너는 알라 오직 네 하나님 여호와는 하나님이시요 신실하신 하나님이시라 그를 사랑하고 그의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천 대까지 그의 언약을 이행하시며 인애를 베푸시되" (신명기 7:9).



4. 본문과 구약 성경과의 관계


베냐민의 계보는 야곱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족장들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언약 약속의 연속성을 강조한다.

상세한 족보 기록은 특정 유산을 가진 선택된 백성이라는 개념을 강화한다. 야곱이 가장 사랑하는 아내 라헬의 막내아들인 베냐민의 포함은 취약성과 잠재력 모두를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창세기에서 요셉과의 특별한 유대감을 포함한 베냐민의 이야기는 이후 부족의 중요성을 위한 무대를 마련한다.

게바에 대한 언급과 에훗을 동명의 사사와 동일시할 가능성은 이 족보를 사사 시대의 격동적인 시기와 연결시켜 준다. 이 시대에 베냐민 지파는 때로는 논란이 많았지만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사사기 19-21장에서 베냐민 지파가 거의 전멸당한 사건은 부족의 회복력과 그들을 보존하신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강조한다. 이 역사적 사건은 원래 청중에게 알려졌을 것이며, 족보에 깊이를 더한다.

베냐민 지파의 족보는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을 배출했기 때문에 왕정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역대기는 다윗 왕조를 강조하지만, 사울의 계보를 인정하는 것은 이스라엘 초기 왕정에 대한 완전한 그림을 제공한다. 사울의 조상(장 뒷부분에 나옴)을 포함한 베냐민의 족보를 역대기 저자가 포함한 것은 유다와 다윗에게 초점이 맞춰지더라도 이스라엘 역사에서 이 부족의 중추적인 역할을 보여준다. 이는 이스라엘의 과거를 상세히 기록하는 역대기의 포괄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러한 족보는 유수에서 돌아온 사람들이 약속의 땅에서 자신들의 정체성과 토지 소유권을 재확립하는 데 필수적이었으며, 그들의 조상의 유산과 연결시켜 주었다. 베냐민 영토 내의 특정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돌아온 공동체에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그 땅과의 연관성을 강화했을 것이다. 이는 이러한 족보 기록의 실질적이고 사회적인 중요성을 강조한다.



5. 결론


역대상 8장 1-9절은 단순한 이름 목록처럼 보일 수 있지만, 베냐민 지파의 계보와 초기 역사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 구절은 고대 이스라엘 사회에서 족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단순한 역사 기록뿐만 아니라 정체성을 확립하고 하나님의 약속과의 연결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이 구절의 신학적 의미는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나님의 주권, 불완전한 사람들을 사용하시는 하나님의 섭리, 그리고 그분의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을 상기시켜 준다.

설교자와 교사들에게 이 족보는 유산, 하나님께서 평범한 사람들을 사용하심, 그리고 가족사의 복잡성이라는 주제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구약성경 전체 맥락 안에서 이 구절의 배경과 연관성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하나님의 복잡한 계획과 그분의 백성과의 지속적인 관계에 대해 더 깊이 감사하게 된다.


댓글

Popular Posts

오늘의 큐티, 에베소서 4장 2절-3절 너그럽게 대하고 용납하고

  너그럽게 대하고 용납하고   1. 오늘의 큐티 본문 언제나 겸손하고 부드러우며 인내와 사랑으로 서로 너그럽게 대하고 성령으로 연합하여 사이좋게 지내도록 노력하십시오. (에베소서 4장 2절-3절,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만약에 당신이 에베소서 4장 2절-3절의 말씀을 인생의 지침으로 삼는다면, 당신의 결혼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당신은 평화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구절이 제시하는 한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그 조건은 다른 사람들과 평화롭게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 져야 할 책임이 성도인 우리의 어깨에 놓여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이 땅의 기준과는 전혀 다른 기준으로 살아야만 합니다. 우리는 우리만의 특별한 기준을 가지고 살아갈 때,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큰 영향을 미치며 살아가게 됩니다. 아울러, 우리 역시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큰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다른 이들을 이해하고 친절하게 대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겸손한 언행을 해야만 합니다.     화평을 유지하고 하나됨을 지키기 위해 때로는 토론을 무시하거나 문제를 무시하고 모른 척 해버릴 수도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요 이 땅에 주님의 형상과 영광을 비추는 거울이기에, 우리를 통해 하나님의 모습을 나타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세상 사람들도 우리를 보며 하나님의 성품에 대해 기대를 하곤 합니다.    이미 정복하고 소유한 것에 대해 인간은 소홀해지기 쉽지만, 우리는 더욱 겸손하고 친절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우리 주변의 사람들에게 대해야 그들과 화평을 지켜 나갈 수 있습니다. 우리가 여행했던 장소와 그곳까지 가느라 걸렸던 시간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는가를 기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수고하여 이룬 화평을 쉽게 깨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자세는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친...

예레미야애가 3장 40절-54절,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깊은 슬픔에 잠긴 예레미야는 본문의 말씀인 예레미야애가 3장 40절부터 54절까지의 말씀을 통하여, 이스라엘에게 자신들의 행동을 살펴보고 하나님께 돌아가라고 권합니다. 주님이 우리의 죄를 용서하지 않으시면 결국 패망하고 말 것입니다. 주께서 이스라엘의 기도를 듣지 않으심으로 인하여 대적이 입을 열고 파멸이 이스라엘에게 올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눈물이 시냇물과 같이 흘러내리며 하나님이 돌아보실 때까지 계속해서 눈물을 흐른다고 고백합니다. 예레미야애가 3장 40절-54절,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예레미야의 간곡한 권유 이스라엘의 행동을 반성하고 하나님으로 돌아가라는 예레미야의 간곡한 권유는 오늘 우리 스스로를 돌아보게 합니다. 우리가 범한 죄를 용서받기 위해서는 우리의 마음 중심의 깊은 회개와 함께 깨어있는 신앙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대적이 우리를 향해 그 입을 열고 파멸이 우리에게 밀려올 것입니다. 그리고 예레미야는 자신의 눈에서 흐르는 눈물이 시내가 흐르는 것처럼 흘러간다고 고백합니다. 그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바라보실 때까지 눈물로 땅을 적실 정도라고 말하며 이스라엘의 회개와 속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1. 파괴되고 쓰레기로 변한 이유 우리가 죄의 길에서 돌이켜 하나님께로 나아갈 때,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받습니다. 예레미야는 유다의 백성들에게 호소합니다. "자신의 행위를 돌아보고 주님께로 돌아가자"고 말씀하십니다 (절 40). 유다의 백성들에게 회개를 권면하면서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진노 아래에서 겪고 있는 상황에 대해 한탄합니다. 하나님은 유다의 백성들을 용서하지 않으셨고, 백성들의 기도를 들으실 의향이 없으셨기 때문에 대적이 입을 열고 파멸이 그들에게 임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2. 시냇물처럼 흐르는 눈물 예레미야는 예루살렘이 파괴되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시냇물처럼 눈물이 흘렀습니다. 그는 자신이 흘린 눈물이 하나님이 예루살렘을 용서하시고 보살피실 때까지 계속 흘러간다고 고백합니다. 특히 예루살렘이 함락...

오늘의 큐티, 고린도전서 13장 4절-7절 "사랑"이란

사랑이란 1. 오늘의 큐티 본문 사랑은 오래 참고 친절하며 질투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며 잘난 체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버릇없이 행동하지 않고 이기적이거나 성내지 않으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불의를 기뻐하지 않고 진리와 함께 기뻐합니다. 사랑은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고 모든 것을 견딥니다. (고린도전서 13:4-7,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성경에서 사랑에 대해 말할 때 항상 하나님을 언급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랑의 시작이자 근원이며 하나님이 곧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요한일서 4장 7절과 8절은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서로 사랑합시다. 사랑은 하나님에게서 왔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모두 하나님에게서 나서 하나님을 알지만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을 모릅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특별하신 성품, 즉 우리를 통해서 표현되어져야만 하는 하나님의 본성과 생명을 우리에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랑이 바로 우리가 예수를 믿고 새롭게 태어나게 될 때 받게 되는 “하나님의 본성” 입니다. 사랑은 하나님의 근본적인 성품이자 하나님께서 거듭난 우리에게 주시는 영적인 선물입니다. 사랑은 가장 위대한 영적 선물입니다.    그렇습니다. 바로 사랑입니다. 사랑은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서, 자기 중심적이고 자기 만족적인 단어가 아닙니다. 타인 중심적이며 타인의 관심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는 의미를 담은 아름다운 자기 희생의 단어입니다. 자녀를 향한 부모님의 사랑을 한 번 기억해 보십시오. 자녀가 어떻게 행동하든지 부모님의 사랑은 자녀의 모든 허물을 덮고 용납해 주지 않습니까?    만일 하나님과 영원한 삶을 살아가고자 계획하고 있다면, 내 안에 계신 하나님의 성품과 인격을 나를 통하여 드러냄으로써 이 땅에서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는 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