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빌레몬서의 배경, 개요 - 설교 본문에 대한 연구 자료

빌레몬서의 시대적 배경은 "노예 제도" 속의 상황이었다는 점입니다. 기독교와 노예 제도의 관계, 특히 신약성경 빌레몬서를 통해 본 로마 시대 노예 제도를 설명합니다. 직접적인 비판 대신 변화를 추구한 기독교의 관점을 제시합니다.


빌레몬서의 배경, 개요



빌레몬서의 배경, 개요



기독교와 노예 제도


노예 제도는 빌레몬서의 배경을 이루며, 로마 제국의 노예 제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이 책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노예 제도는 고대 세계에서 당연한 일상생활의 일부로 여겨졌습니다. 실제로 로마 사회 전체 구조가 노예 제도에 기반을 두고 있었습니다. “노예 제도는 로마 국가의 성장과 함께 성장하여 사회의 경제적 기반을 바꾸어 자유 노동을 없애고 거의 모든 산업을 노예의 손으로 옮겼습니다.” (Marvin R. Vincent, *The Epistles to the Philippians and to Philemon*,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Edinburgh: T. & T. Clark, 1979], p. 162). 정복 전쟁 시대에는 대부분의 노예가 전쟁 포로였습니다. 그러나 신약 시대에 이르러서는 대부분의 노예가 노예로 태어났습니다. 노예의 수는 엄청나게 많아 제국 인구의 3분의 1에 달했습니다.

노예는 법적으로 사람이 아닌 주인의 동산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들은 팔리거나, 교환되거나, 주어지거나, 주인의 빚을 갚기 위해 압류될 수 있었습니다. 노예에게는 결혼할 법적 권리가 없었고, 노예의 동거는 주인이 규제했습니다. 이미 언급했듯이 주인은 노예를 처벌할 거의 무제한적인 권한을 가졌습니다. 로마 작가 유베날리스는 한 부유한 여인이 노예를 십자가형에 처형하라고 명령하고 자신의 기분에 따른 것 외에는 아무런 이유도 제시하지 않았다고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신약 시대에 이르러 노예 제도는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노예에 대한 처우가 개선되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주인이 만족한 노예가 더 나은 성과를 낸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법적으로는 사람으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노예는 일부 법적 권리를 획득하기 시작했습니다. 서기 20년에 로마 원로원은 범죄 혐의를 받은 노예는 자유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선포했습니다 (A. Rupprecht, “Slave, Slavery,” in *The Zondervan Pictorial Encyclopedia of the Bible*, ed. Merrill C. Tenney [Grand Rapids: Zondervan, 1977], 5:459). 어떤 경우에는 그들의 유언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받기도 했습니다. 그들은 종종 재산을 소유하는 것이 허용되었습니다.

노예는 종종 자유인보다 더 나은 생활을 했습니다. 그들은 음식, 의류, 주거를 보장받았지만, 가난한 자유인은 종종 거리나 값싼 주택에서 잠을 잤습니다. 자유인은 고용 안정성이 없었고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면 생계를 잃을 수 있었습니다. 많은 노예가 자유인만큼 잘 먹고 잘 입었습니다.

노예는 의사, 음악가, 교사, 예술가, 사서, 회계사가 될 수 있었습니다. 로마인이 자신의 직업 기술을 노예에게 가르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거의 모든 분야에서 교육과 훈련을 받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1세기에 이르러 자유는 많은 노예에게 현실적인 가능성이 되었습니다. 주인은 종종 노예가 더 잘 일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자유에 대한 희망을 제시했습니다. 많은 노예가 주인과 깊은 우정을 나누었고, 관대함으로 사랑받고 보살핌을 받았습니다. 많은 노예가 자유를 제안받았더라도 행복하고 유익한 고용 환경 때문에 자유를 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노예는 스스로 자유를 살 수도 있었습니다. 주인은 종종 유언장에 자신의 노예를 해방시키거나 주인이 사망한 후 자신의 재산의 일부를 받도록 지정했습니다. 따라서 해방은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81년부터 49년 사이에 50만 명의 노예가 해방되었습니다 (Rupprecht, 5:458).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이르러 주인의 사망으로 너무 많은 노예가 해방되어 그 관행을 제한하는 법이 통과되어야 했습니다 (Rupprecht, 5:459). 노예가 자유를 얻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평균 기간은 7년에서 20년 사이로 추정됩니다.

신약성경이 노예 제도를 직접적으로 공격하지 않는다는 것은 주목할 만합니다. 예수님과 사도들이 그렇게 했다면 혼란이 일어났을 것입니다. 노예 반란은 잔인하게 진압되고 노예들은 학살되었을 것입니다. 복음은 사회 개혁의 메시지에 묻혀버렸을 것입니다. 더욱이 노예와 주인 사이의 올바른 관계는 이상적인 것은 아니더라도 실행 가능한 사회 제도였습니다.

그러나 기독교는 노예 제도 파괴의 씨앗을 뿌렸습니다. 그것은 사회적 격변이 아니라 변화된 마음으로 파괴될 것입니다. 빌레몬서는 그 원리를 보여줍니다. 바울은 빌레몬에게 오네시모를 해방시키라고 명령하거나 노예 제도가 악하다고 가르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빌레몬에게 오네시모를 형제처럼 대하라고 명령함으로써 (빌레몬서 16절; 에베소서 6:9; 골로새서 4:1 비교), 노예 제도의 폐단을 제거했습니다. 마빈 빈센트는 다음과 같이 논평합니다. “복음의 원리는 노예 제도의 폐단을 줄였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를 파괴했습니다. 왜냐하면 노예 제도는 폐단 없이 존재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폐단을 파괴하는 것은 그것을 파괴하는 것이었습니다.” (Vincent, *Philemon*, p. 167).


한 작가는 빌레몬서가 노예 제도와 관련하여 갖는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습니다.

이 서신은 기독교 교회 내의 노예 제도라는 전체 문제를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원칙적으로도 비난의 생각은 없습니다. 사도는 당시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다룹니다. 그는 빌레몬이 오네시모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고 당연하게 여기며 그 입장을 문제 삼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중요한 구절에서 바울은 주인과 노예의 관계의 성격을 변화시킵니다. 오네시모는 더 이상 노예가 아니라 사랑받는 형제로 돌아옵니다 (16절). 현대적 의미에서 그리스도인 주인이 그리스도 안의 형제를 ‘소유’하는 것은 분명히 부조화스러운 일이며, 기독교가 정치 혁명 없이 기존 사회 질서를 즉시 변화시킬 수는 없었지만 (이는 분명히 기독교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스도인 주인과 노예의 관계는 내적으로 너무나 변화되어 결국 그 제도의 폐지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Donald Guthrie, *New Testament Introduction* [Downers Grove, Ill.: InterVarsity, 1970], p. 640)



개요


  • 서론 (1–3절)
  • 용서하는 사람의 영적 성격 (4–7절)
  • 용서하는 사람의 영적 행위 (8–18절)
  • 용서하는 사람의 영적 동기 (19–25절)


댓글

Popular Posts

오늘의 큐티, 에베소서 4장 2절-3절 너그럽게 대하고 용납하고

  너그럽게 대하고 용납하고   1. 오늘의 큐티 본문 언제나 겸손하고 부드러우며 인내와 사랑으로 서로 너그럽게 대하고 성령으로 연합하여 사이좋게 지내도록 노력하십시오. (에베소서 4장 2절-3절,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만약에 당신이 에베소서 4장 2절-3절의 말씀을 인생의 지침으로 삼는다면, 당신의 결혼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당신은 평화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구절이 제시하는 한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그 조건은 다른 사람들과 평화롭게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 져야 할 책임이 성도인 우리의 어깨에 놓여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이 땅의 기준과는 전혀 다른 기준으로 살아야만 합니다. 우리는 우리만의 특별한 기준을 가지고 살아갈 때,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큰 영향을 미치며 살아가게 됩니다. 아울러, 우리 역시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큰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다른 이들을 이해하고 친절하게 대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겸손한 언행을 해야만 합니다.     화평을 유지하고 하나됨을 지키기 위해 때로는 토론을 무시하거나 문제를 무시하고 모른 척 해버릴 수도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요 이 땅에 주님의 형상과 영광을 비추는 거울이기에, 우리를 통해 하나님의 모습을 나타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세상 사람들도 우리를 보며 하나님의 성품에 대해 기대를 하곤 합니다.    이미 정복하고 소유한 것에 대해 인간은 소홀해지기 쉽지만, 우리는 더욱 겸손하고 친절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우리 주변의 사람들에게 대해야 그들과 화평을 지켜 나갈 수 있습니다. 우리가 여행했던 장소와 그곳까지 가느라 걸렸던 시간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는가를 기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수고하여 이룬 화평을 쉽게 깨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자세는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친...

오늘의 큐티, 고린도전서 13장 4절-7절 "사랑"이란

사랑이란 1. 오늘의 큐티 본문 사랑은 오래 참고 친절하며 질투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며 잘난 체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버릇없이 행동하지 않고 이기적이거나 성내지 않으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불의를 기뻐하지 않고 진리와 함께 기뻐합니다. 사랑은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고 모든 것을 견딥니다. (고린도전서 13:4-7,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성경에서 사랑에 대해 말할 때 항상 하나님을 언급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랑의 시작이자 근원이며 하나님이 곧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요한일서 4장 7절과 8절은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서로 사랑합시다. 사랑은 하나님에게서 왔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모두 하나님에게서 나서 하나님을 알지만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을 모릅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특별하신 성품, 즉 우리를 통해서 표현되어져야만 하는 하나님의 본성과 생명을 우리에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랑이 바로 우리가 예수를 믿고 새롭게 태어나게 될 때 받게 되는 “하나님의 본성” 입니다. 사랑은 하나님의 근본적인 성품이자 하나님께서 거듭난 우리에게 주시는 영적인 선물입니다. 사랑은 가장 위대한 영적 선물입니다.    그렇습니다. 바로 사랑입니다. 사랑은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서, 자기 중심적이고 자기 만족적인 단어가 아닙니다. 타인 중심적이며 타인의 관심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는 의미를 담은 아름다운 자기 희생의 단어입니다. 자녀를 향한 부모님의 사랑을 한 번 기억해 보십시오. 자녀가 어떻게 행동하든지 부모님의 사랑은 자녀의 모든 허물을 덮고 용납해 주지 않습니까?    만일 하나님과 영원한 삶을 살아가고자 계획하고 있다면, 내 안에 계신 하나님의 성품과 인격을 나를 통하여 드러냄으로써 이 땅에서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는 법을 ...

오늘의 큐티, 로마서 12장 1절 '산 제물'에 대하여

‘산 제물’에 대하여 1. 오늘의 큐티 본문 그러므로 형제 여러분, 내가 하나님의 자비를 생각하며 권합니다. 여러분의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십시오. 이것은 여러분이 드릴 영적 예배입니다. (로마서 12장 1절,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전통적인 형태의 번제로 하나님을 예배하던 구약성경 시대에는, 얼룩이나 흠이 없는 소나 양, 염소나 새 등의 동물을 제물로 삼아 불태워 하나님께 예배를 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우리가 하나님께 드릴 수 있는 최고의 제물은 무엇일까요? 바로 ‘나의 삶’입니다. 로마서 12장 1절을 통하여 사도 바울은, 로마 교회의 성도들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하여 매일 제물과 같은 삶을 살기를 권면하고 있습니다.    무엇인가를 희생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을 존경하거나 혹은 감사를 표현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으로서 내가 가지고 있는 가장 소중한 것을 내려 놓은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구세주로 받아 들였을 때, 우리를 지배하던 이 세상의 주관자 사탄의 권리가 모두 빼앗기고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 나라를 유업으로 받는 상속자가 되었습니다.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우리에게 있어서 가장 소중한 생명을 하나님께 바치는 것이 당연하다는 사실을 우리는 깨닫고 있습니다. 나에게 영생의 구원을 주신 하나님께 아까워 할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하나님께 내 생명을 산 제물로 드린다는 것은 모두가 가는 넓은 길을 포기하고 나 스스로가 선택하여 좁은 길을 걷는 것입니다. 내가 해야만 하는 백만 가지의 일들이 쌓여 있고 개인적으로 여흥을 즐길 수 있는 시간이 전혀 없는 바쁜 순간에도, 은밀한 장소에서 오직 하나님과만 기도와 말씀으로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내가 가진 시간, 애정, 소유 등 내 손에 움켜 쥐고 있는 것을 하나님을 향하여 손을 펴도 드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모두 하나님께 속한 자로 살아가야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