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복음 20장 41절-21장 4절, 메시아이신 예수님, 헌금의 가치
1. 핵심 줄거리
본문에서 예수는 종교 지도자들에게 시편 110편을 인용하며 메시아가 다윗의 아들이면서 동시에 다윗의 주가 될 수 있는지 질문한다. 이는 당시 메시아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넘어선 질문으로, 예수 자신의 신성을 암시한다. 이어서 예수는 제자들에게 겉으로만 경건한 척하며 존경받기를 좋아하고, 가난한 과부들을 착취하는 서기관들의 위선을 경계하라고 경고한다. 마지막으로 예수는 성전 헌금함에 헌금하는 부자들과 두 렙돈을 헌금한 가난한 과부를 비교하며, 물질의 양보다 믿음과 헌신의 마음으로 드리는 헌금의 가치를 강조한다. 이 모든 내용은 예수의 예루살렘에서의 마지막 가르침의 일부로, 그의 십자가 수난 직전에 이루어진 것이다. 예수는 다양한 청중에게 지혜로운 질문과 경고, 그리고 실제적인 예를 통해 중요한 영적 진리를 전달하고 있다. 종교 지도자들의 지적 한계와 위선적인 행동, 그리고 평범한 사람의 진실한 믿음과 헌신이 극명하게 대비되는 장면이다.
2. 신학적 내용
본문은 기독론, 윤리학, 헌금에 대한 중요한 신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먼저 예수는 시편 110편에 대한 질문을 통해 메시아의 이중적 본성, 즉 완전한 인간(다윗의 아들)이면서 동시에 완전한 신(다윗의 주)임을 드러낸다. 이는 당시 종교 지도자들이 가졌던 메시아에 대한 피상적이고 종종 정치적인 기대를 뛰어넘는 주장이다. 둘째, 예수의 서기관들에 대한 신랄한 비판은 종교적 위선의 위험성을 강조한다. 겉으로 보이는 경건함 뒤에 숨겨진 탐욕과 자기중심적인 태도는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음을 경고한다. 셋째, 가난한 과부의 헌금 이야기는 진정한 헌신의 본질을 보여준다. 물질의 많고 적음이 아니라, 믿음과 사랑으로 자신의 전부를 드리는 희생적인 마음이 하나님께 더욱 가치 있게 여겨진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이러한 가르침은 형식적인 종교 행위보다 내면의 진실함과 헌신을 중요하게 여기는 예수의 핵심 메시지를 반영한다.
3. 설교할 수 있는 핵심 내용
3.1 메시아의 역설: 다윗의 아들이자 다윗의 주
- 핵심 구절: 누가복음 20:42-44 "다윗이 시편에 친히 말하였으되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내가 네 원수를 네 발등상으로 삼을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았으라 하셨도다 하였느니라 그런즉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칭하였으니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 하니라" (NIV: "David himself declares in the Book of Psalms: “'The Lord said to my Lord: “Sit at my right hand until I make your enemies a footstool for your feet.”' David calls him 'Lord.' How then can he be his son?")
- 설명: 이 설교는 구약성경과 예수님의 말씀을 통해 나타나는 메시아의 역설적인 신분을 탐구합니다. 예수는 단순히 다윗의 혈통을 이은 인간적인 왕으로만 이해될 수 없습니다. 시편 110편을 인용하며 다윗 자신이 메시아를 '주'라고 칭한 사실은, 예수가 인간의 한계를 초월하는 신성한 존재임을 시사합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가 완전한 인간이면서 동시에 완전한 하나님이라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를 드러냅니다. 이 역설을 통해 우리는 예수님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그의 권위와 능력에 대한 믿음을 굳건히 할 수 있습니다.
3.2 외식적인 경건과 내면의 부패에 대한 경고
- 핵심 구절: 누가복음 20:46-47 "모든 백성이 들을 때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긴 옷을 입고 다니는 서기관들을 삼가라 그들은 시장에서 문안 받는 것과 회당의 높은 자리와 잔치의 윗자리를 좋아하며 과부의 가산을 삼키고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는 자들이니 그들이 더 큰 형벌을 받으리라 하시니라" (NIV: "Beware of the teachers of the law. They like to walk around in flowing robes and love to be greeted with respect in the marketplaces and have the most important seats in the synagogues and the places of honor at banquets. They devour widows’ houses and for a show make lengthy prayers. These men will be punished most severely.")
- 설명: 이 설교는 겉으로 드러나는 종교적인 행위와는 달리, 내면의 진실함과 겸손함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합니다. 예수는 당시 존경받던 서기관들의 외식적인 태도와 탐욕스러운 행동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제자들에게 경고합니다. 그들은 겉으로는 화려한 옷을 입고 존경을 갈망했지만, 실제로는 약자들을 착취하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했습니다. 이러한 경고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깊은 울림을 줍니다. 우리는 겉으로 보이는 신앙생활에만 치중하지 않고, 하나님 앞에서 진실한 마음과 행실을 갖추도록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3.3 믿음에 뿌리내린 희생적인 헌금의 가치
- 핵심 구절: 누가복음 21:3-4 "이르시되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NIV: "Truly I tell you,” he said, “this poor widow has put in more than all the others. All these people gave their gifts out of their wealth; but she out of her poverty put in all she had to live on.”)
- 설명: 이 설교는 하나님께서 받으시는 진정한 헌금은 물질의 액수가 아니라 드리는 사람의 마음과 믿음에 달려 있음을 보여줍니다. 예수는 많은 부자들이 풍족한 가운데서 드린 헌금보다, 가난한 과부가 자신의 모든 것을 드린 두 렙돈을 더 높이 평가합니다. 이 과부의 헌금은 하나님께 대한 절대적인 신뢰와 헌신을 보여주는 행위입니다. 우리 역시 물질적인 풍요와 상관없이, 믿음으로 자신의 것을 기꺼이 드리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중심을 보시며, 희생적인 마음으로 드리는 작은 헌금이라도 귀하게 여기십니다.
4. 본문과 구약 성경과의 관계
누가복음 20장 41-44절은 구약성경 시편 110편 1절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 예수는 이 구절을 인용하여 당시 유대인들이 가지고 있던 메시아에 대한 이해, 즉 다윗의 아들로서 이스라엘의 정치적 회복을 가져올 인물이라는 관념에 도전한다. 시편 110편에서 다윗은 메시아를 '주'라고 칭하는데, 이는 메시아가 단순한 인간 왕족의 후손을 넘어선 신성한 존재임을 암시한다. '네 원수를 네 발등상으로 삼을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았으라'는 구절은 메시아의 궁극적인 승리와 통치를 예언하는 것으로, 구약성경에서 왕권과 승리를 상징하는 표현이다. 또한, 메시아가 다윗의 자손으로 오리라는 기대는 구약의 여러 예언에 근거한다. 일부 구약 구절(이사야 9:6, 시편 2:7)은 메시아의 신성을 암시하기도 한다. 이처럼 누가복음 본문은 구약의 예언과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예수가 구약에서 약속된 메시아임을 증명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결론
누가복음 20장 41절부터 21장 4절까지의 본문은 예수의 지혜로운 가르침과 권위, 그리고 당시 종교 지도자들의 위선과 대조되는 진실한 믿음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예수는 구약성경을 능숙하게 활용하여 메시아의 정체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촉구하고, 형식적인 종교 행위 뒤에 숨겨진 내면의 부패를 날카롭게 지적한다. 가난한 과부의 헌금 이야기는 진정한 헌신은 물질의 양이 아니라 믿음과 희생적인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강력하게 보여준다. 이 모든 내용은 예수의 공생애 말기에 예루살렘 성전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권위 있는 가르침과 다가올 십자가 고난을 앞둔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본문은 오늘날의 신앙인들에게도 여전히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즉,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참된 정체성을 깊이 인식하고, 외식적인 신앙을 경계하며, 진실한 믿음과 헌신으로 하나님께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적으로 소외된 자들에 대한 예수의 관심과 그들의 믿음을 높이 평가하는 모습은, 교회가 어떠한 가치를 지향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