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스가랴 6장 1절-15절, 여호수아의 대관식, 평화의 왕이 오신다 - 설교 연구 자료

스가랴 6장의 내용을 분석하고 정리한 자료. 네 병거 환상을 통해 하나님의 주권을, 대제사장 여호수아의 대관식을 통해 왕과 제사장이신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를 배웁니다. 혼란 속에서 참된 평화와 희망을 발견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메시지입니다.


스가랴 6장 1절-15절, 여호수아의 대관식, 평화의 왕이 오신다 - 설교 연구 자료



스가랴 6장 1절-15절, 여호수아의 대관식, 평화의 왕이 오신다



서론


스가랴 6장은 환상과 예언이 어우러져 희망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네 병거 환상을 통해 온 세상을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주권을 보여주고, 대제사장 여호수아의 대관식을 통해 앞으로 오실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예표합니다.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정한 평화와 회복이 어디로부터 오는지 알려주는 귀한 말씀입니다.



핵심 줄거리


스가랴 선지자는 놋산 사이에서 나온 네 병거 환상을 봅니다. 각각 붉은 말, 검은 말, 흰 말, 어루러진 말을 맨 병거들은 온 땅의 주인이신 하나님 앞에서 있다가 세상 사방으로 나아가 하나님의 명령을 수행합니다. 특히 북쪽으로 간 병거들이 하나님의 영을 쉬게 했다는 보고를 합니다. 이 환상 후에 하나님은 스가랴에게 바벨론에서 돌아온 자들이 가져온 은과 금으로 면류관을 만들어 대제사장 여호수아의 머리에 씌우라고 명령하십니다. 그리고 '싹'(צֶמַח, 체마흐)이라 불리는 사람이 성전을 건축하고 왕의 자리에 앉아 평화의 의논을 할 것이라는 예언을 선포합니다.



신학적 내용


스가랴 6장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메시아 예언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신학적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네 병거 환상은 역사의 주관자가 하나님이시며, 그분의 계획과 섭리 아래 온 세상이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세상의 권세들이 아무리 강해 보여도 결국 하나님의 통제 아래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큰 위로와 안정감을 줍니다. 또한, 대제사장 여호수아에게 금 면류관을 씌우는 예식은 제사장직과 왕직을 겸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명확하게 예표합니다. '싹'이라는 이름으로 예언된 메시아는 다윗의 후손으로 오셔서 무너진 성전을 재건하고,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진정한 평화를 이룩하실 왕이심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설교 핵심 내용


1. 세상을 다스리시는 하나님을 신뢰하십시오.

핵심 구절: "이는 온 땅의 주 앞에 서 있다가 나가는 네 하늘의 바람들이라" (스가랴 6:5)

세상이 혼란스럽고 악이 승리하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네 병거 환상은 이 모든 것 위에 하나님의 통치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역사의 수레바퀴를 움직이시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우리의 삶에 어떤 바람이 불어오든, 그 모든 것을 주관하시는 하나님을 굳게 신뢰하며 평안을 누리십시오.


2. '싹'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십시오.

핵심 구절: "보라 싹이라 이름하는 사람이 자기 곳에서 돋아나서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리라" (스가랴 6:12)

구약의 대제사장 여호수아는 장차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그림자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대속하시는 영원한 대제사장이시며, 우리를 다스리시는 평화의 왕이십니다. 문제와 절망 속에서 우리의 유일한 희망이시며, 우리 삶의 성전을 온전히 세우실 '싹' 되신 예수님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3. 평화의 일에 동참하는 자가 되십시오.

핵심 구절: "이 두 사이에 평화의 의논이 있으리라 하셨느니라" (스가랴 6:13)

왕과 제사장의 직분을 함께 감당하실 메시아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그리고 우리와 이웃 사이에 진정한 평화를 이루십니다. 우리 또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 평화를 누리고 전하는 사명을 받았습니다. 가정에서, 교회에서, 세상 속에서 갈등을 중재하고 화평을 이루는 '평화의 일꾼'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련성


스가랴 6장의 '싹'에 대한 예언과 대제사장 여호수아의 대관식은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온전히 성취됩니다. 예수님은 히브리서에서 증언하듯,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영원한 대제사장이시며(히 6:20), 동시에 만왕의 왕으로 오셨습니다(계 19:16). 제사장으로서 자신의 몸을 단번에 제물로 드려 우리의 죄를 용서하셨고, 왕으로서 사탄의 권세를 꺾고 우리에게 참된 평화와 승리를 주셨습니다. 스가랴의 예언처럼 예수님은 사람의 손으로 짓지 않은, 바로 우리 자신인 성전을 세우시는 분입니다(고전 3:16).



결론


스가랴 6장은 우리에게 놀라운 희망의 청사진을 보여줍니다. 혼란한 세상 속에서도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하고, 우리의 왕이시며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굳게 붙들 때, 우리는 참된 평안과 회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도 주님이 주신 평화를 세상에 전하며, 주님의 성전을 함께 지어가는 거룩한 사명에 동참해야 할 것입니다.


댓글

Popular Posts

오늘의 큐티, 에베소서 4장 2절-3절 너그럽게 대하고 용납하고

  너그럽게 대하고 용납하고   1. 오늘의 큐티 본문 언제나 겸손하고 부드러우며 인내와 사랑으로 서로 너그럽게 대하고 성령으로 연합하여 사이좋게 지내도록 노력하십시오. (에베소서 4장 2절-3절,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만약에 당신이 에베소서 4장 2절-3절의 말씀을 인생의 지침으로 삼는다면, 당신의 결혼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당신은 평화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구절이 제시하는 한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그 조건은 다른 사람들과 평화롭게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 져야 할 책임이 성도인 우리의 어깨에 놓여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이 땅의 기준과는 전혀 다른 기준으로 살아야만 합니다. 우리는 우리만의 특별한 기준을 가지고 살아갈 때,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큰 영향을 미치며 살아가게 됩니다. 아울러, 우리 역시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큰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다른 이들을 이해하고 친절하게 대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겸손한 언행을 해야만 합니다.     화평을 유지하고 하나됨을 지키기 위해 때로는 토론을 무시하거나 문제를 무시하고 모른 척 해버릴 수도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요 이 땅에 주님의 형상과 영광을 비추는 거울이기에, 우리를 통해 하나님의 모습을 나타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세상 사람들도 우리를 보며 하나님의 성품에 대해 기대를 하곤 합니다.    이미 정복하고 소유한 것에 대해 인간은 소홀해지기 쉽지만, 우리는 더욱 겸손하고 친절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우리 주변의 사람들에게 대해야 그들과 화평을 지켜 나갈 수 있습니다. 우리가 여행했던 장소와 그곳까지 가느라 걸렸던 시간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는가를 기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수고하여 이룬 화평을 쉽게 깨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자세는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친...

오늘의 큐티, 고린도전서 13장 4절-7절 "사랑"이란

사랑이란 1. 오늘의 큐티 본문 사랑은 오래 참고 친절하며 질투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며 잘난 체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버릇없이 행동하지 않고 이기적이거나 성내지 않으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불의를 기뻐하지 않고 진리와 함께 기뻐합니다. 사랑은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고 모든 것을 견딥니다. (고린도전서 13:4-7,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성경에서 사랑에 대해 말할 때 항상 하나님을 언급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랑의 시작이자 근원이며 하나님이 곧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요한일서 4장 7절과 8절은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서로 사랑합시다. 사랑은 하나님에게서 왔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모두 하나님에게서 나서 하나님을 알지만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을 모릅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특별하신 성품, 즉 우리를 통해서 표현되어져야만 하는 하나님의 본성과 생명을 우리에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랑이 바로 우리가 예수를 믿고 새롭게 태어나게 될 때 받게 되는 “하나님의 본성” 입니다. 사랑은 하나님의 근본적인 성품이자 하나님께서 거듭난 우리에게 주시는 영적인 선물입니다. 사랑은 가장 위대한 영적 선물입니다.    그렇습니다. 바로 사랑입니다. 사랑은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서, 자기 중심적이고 자기 만족적인 단어가 아닙니다. 타인 중심적이며 타인의 관심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는 의미를 담은 아름다운 자기 희생의 단어입니다. 자녀를 향한 부모님의 사랑을 한 번 기억해 보십시오. 자녀가 어떻게 행동하든지 부모님의 사랑은 자녀의 모든 허물을 덮고 용납해 주지 않습니까?    만일 하나님과 영원한 삶을 살아가고자 계획하고 있다면, 내 안에 계신 하나님의 성품과 인격을 나를 통하여 드러냄으로써 이 땅에서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는 법을 ...

오늘의 큐티, 로마서 12장 1절 '산 제물'에 대하여

‘산 제물’에 대하여 1. 오늘의 큐티 본문 그러므로 형제 여러분, 내가 하나님의 자비를 생각하며 권합니다. 여러분의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십시오. 이것은 여러분이 드릴 영적 예배입니다. (로마서 12장 1절, 현대인의 성경) 2. 오늘의 말씀 묵상    전통적인 형태의 번제로 하나님을 예배하던 구약성경 시대에는, 얼룩이나 흠이 없는 소나 양, 염소나 새 등의 동물을 제물로 삼아 불태워 하나님께 예배를 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우리가 하나님께 드릴 수 있는 최고의 제물은 무엇일까요? 바로 ‘나의 삶’입니다. 로마서 12장 1절을 통하여 사도 바울은, 로마 교회의 성도들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하여 매일 제물과 같은 삶을 살기를 권면하고 있습니다.    무엇인가를 희생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을 존경하거나 혹은 감사를 표현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으로서 내가 가지고 있는 가장 소중한 것을 내려 놓은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구세주로 받아 들였을 때, 우리를 지배하던 이 세상의 주관자 사탄의 권리가 모두 빼앗기고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 나라를 유업으로 받는 상속자가 되었습니다.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우리에게 있어서 가장 소중한 생명을 하나님께 바치는 것이 당연하다는 사실을 우리는 깨닫고 있습니다. 나에게 영생의 구원을 주신 하나님께 아까워 할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하나님께 내 생명을 산 제물로 드린다는 것은 모두가 가는 넓은 길을 포기하고 나 스스로가 선택하여 좁은 길을 걷는 것입니다. 내가 해야만 하는 백만 가지의 일들이 쌓여 있고 개인적으로 여흥을 즐길 수 있는 시간이 전혀 없는 바쁜 순간에도, 은밀한 장소에서 오직 하나님과만 기도와 말씀으로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내가 가진 시간, 애정, 소유 등 내 손에 움켜 쥐고 있는 것을 하나님을 향하여 손을 펴도 드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모두 하나님께 속한 자로 살아가야만...